
Expanding the Design Space of Vision-based Interactive Systems for Group Dance Practice, DIS 2024
Soohwan Lee, Seoyeong Hwang, Ian Oakley, and Kyungho Lee. Expanding the Design Space of Vision-based Interactive Systems for Group Dance Practice. ACM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Conference (DIS’24). Copenhagen, Denmark. https://doi.org/10.1145/3643834.3661568
Statement
Group dance, such as cheerleading, requires many people to move together in perfect synchrony. While it can boost confidence and teamwork, learning these routines can be hard, especially for beginners. Most dance training tools available today are designed for individuals practicing alone, rather than for groups. This paper examines how new technology, particularly systems that utilize regular cameras to track movement, can enhance team dance practices more effectively. The researchers focused on amateur college cheerleading teams, which often don’t have professional coaches. They studied how these teams practiced, provided them with new technological ideas to try, and gathered their feedback. They found that group dance presents special challenges, such as giving feedback without embarrassing anyone or helping everyone stay in sync. Based on their findings, they developed new design ideas for tech systems that support group learning, feedback, and communication. This research opens up new ways to design tools that go beyond solo practice and actually help whole teams learn and improve together.
치어리딩과 같은 단체 춤은 여러 사람이 완벽한 타이밍에 맞춰 함께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팀워크와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특히 초보자는 이를 배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춤 연습 도구는 개인 연습용으로 설계되어 있어 단체 연습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논문은 일반 카메라를 활용해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술이 팀 단위의 춤 연습을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연구진은 전문 코치가 없는 경우가 많은 대학 아마추어 치어리딩 팀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팀이 어떻게 연습하는지를 관찰하고 새로운 기술 아이디어를 제공한 뒤, 팀원들의 피드백을 수집했습니다. 연구 결과, 단체 춤에는 서로 민망하지 않게 피드백을 주거나 모두가 박자를 맞추는 등의 특별한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이에 기반해 저자는 단체 학습과 피드백, 소통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술 시스템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 이 연구는 개인 연습을 넘어서 팀 전체가 함께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